할지 말지 언제나 망설여지는 보험가입

Posted by 유연한 버드나무처럼
2018. 8. 29. 17:53 신용관련 정보




보험계약자분들 중에서 특별히 건강에 적신호가 없어서 


보험혜택을 받지 못한 경우라면 더더욱 매달 고정적으로 


꼬박꼬박 내는 보험료가 아깝다는 생각을 한적이 있을 것입니다. 





최근 들어서 점점 어려워지는 경제상황으로 


인하여 보험을 해약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건강한 현재와 미래를 위해서라도 


꼭 있어야 하는지 생각이 들어도 100세 시대인 


요즘에는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서 하나정도는 


'대비성 상품'으로 가입해 두는 것이 맞습니다. 



 보험상품의 가입을 위해서 상품을 알아볼 때 


그 종류도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것은 같은 마음일 것입니다. 






계약을 장기간 동안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지 체크




보험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저축을 위해서 


가입하는 금융상품과는 의미가 다른 


질병이 발생했을 때를 보장 받는 보험상품입니다. 





그리고 중간에 보험을 해지하게 되면 원금보다 적은 


해지환급금을 받게 된다는 위험이 따릅니다. 



또한 보험을 가입할 때는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의 보장을 목적으로 설계가 되기 때문에 


현재의 경제상황도 중요하지만 고령기에도 


유지 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더더욱 중요합니다. 






★ 보험상품의 특징




① 목적 : 위험보장 (사망, 연금, 상해, 질병 등)



② 가입기간 : 장기 (평균 20년 이상)



③ 적립대상 : 납입보험료 - 위험보험료 - 사업비



④ 원금보장 : 보장 (만기 유지시) / 


변액보험의 경우에는 최저보증 옵션의 가입시



⑤ 투자위험도 : 일반보험은 낮으며 변액보험은 높음



※ 변액보험은 보험계약자가 납입하는 보험료에서 


일정한 금액을 주식 혹은 채권 등에 


투자하여 해당 수익을 받는 상품







★ 변액보험 가입 시 주의사항




변액보험은 조기에 해지할 경우에 


원금보다 적은 해지 환급금을 받게되며, 



보험료 적립금을 펀드에 투자하고 펀드 운용실적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만큼 투자한 펀드의 수익률이 저조할 경우에 


중도 해지 시 더 많은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금보장을 원한다면 


반 저축성 보험에 가입을 하고 


만기까지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보장성보험 혹은 저축성보험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우리는 보험을 가입하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정해야 합니다. 



보험상품은 크게 질병 등의 


갑작스러운 사고가 있을 때를 대비하여 


가입하는 보장성 보험과 목돈 마련 혹은 


노후생활 등을 위한 저축성 보험으로 구분이 됩니다. 




① 보장성 보험의 특징



보장범위 내의 사고 발생 시 납부하는 보험료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은 보험금을 수령할 수 있으며, 


만기 시에 환급액이 적거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 순수보장성 보험은 환급액이 없습니다. 






② 저축성보험의 특징



저축성보험은 보험료의 대부분이 일정 이율 


또는 자산운용 실적에 연동이 되기 때문에 


만기 시 환급 받는 금액이 납입보험료보다 큽니다. 


저축성보험은 보장성 보험에 비해서 보장내역이 


상대적으로 제한될 뿐만 아니라, 


사고보험금도 적을 수 있습니다. 




★ 보험료가 낮은 보장성보험 상품으로 가입으로 인한 불이익이 있을까요?



보장내용이 동일한 상품을 비교하는 경우라면 


보험료가 낮은 쪽이 유리할 수 있으나, 


보장 범위가 달라질 수 있으니 꼼꼼하게 따져봐야 합니다. 


단, 보장금액에 따라 보험료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내가 납입하는 보험료는 적당할까요?




우리는 다양한 채널(홈쇼핑,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서 


보험상품에 대한 정보를 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험의 종류만큼이나 보험료도 각기 다릅니다. 



더욱 더 상품을 판매하는 채널마다 


보험료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비교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 손해보험협회 공시실



손해보업협회 공시실에서는 각 보험회사의 보험료에 대한 


비교공시 산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kpub.knia.or.kr/pdic/Inf.knia



< 출처 : 손해보험협회 공시실 웹페이지 캡쳐 >







▶ 보험다모아



보험다모아에서는 다양한 보험상품의 보험료와 


보장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e-insmarket.or.kr/intro.knia





< 출처 : 보험다모아 웹페이지 캡쳐 >







▶ 내보험다보여



내보험다보여에서는 내가 가입한 보험상품의 세부적인 보장내역, 


실손보험 등의 상품 중복 가입 여부에 대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ins.credit4u.or.kr/showAll/main.do


< 출처 : 내보험다모여 웹페이지 캡쳐 >







★ 보다 저렴하게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어떤 경로로(전화가입, 홈쇼핑을 통한 가입 등) 


가입했느냐에 따라서 


수수료가 달라지므로 보험료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또는 TM 경로를 통해서 


가입을 하면 보다 저렴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강체 할인 등의 조건에 


해당이 되어도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자동이체 할인제도 등도 있습니다. 



여기서 건강체 할인이란 보험 가입자가 


비흡연, 정상혈압, 정상체중 등의 건강인 요건을 충족할 경우에 


보험료를 할인 해 주는 특약제도를 말합니다. 






보장범위 및 지급제한 사유 등의 확인




주위에서 보험료가 저렴해서 가입을 했는데 알고 보니 


보장이 안되는 항목이 많아서 불만이다라는 


볼멘소리를 한 두 번쯤은 들어봤을 것입니다. 



때문에 보험에 가입을 할 때는 


무턱대고 저렴한 보험료에 현혹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그도 그럴 것이 매월 납입하는 금액이 적다고 해도 


긴 세월을 계산 해 보면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닙니다. 



또한 후에 필요한 보장을 제대로 받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보험 가입 전에 반드시 해당 상품의 보장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보험금 지급제한 사유 등도 


꼼꼼하게 따져봐야 불이익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가입을 한 보험을 단순변심으로 취소할 수 있습니다. 



보험증권 수령 후 15일 이내(청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는 


단순 변심에 의한 계약의 취소가 가능)에는 


단순 변심에 의한 계약 취소가 가능합니다.